React 에서 라이브러리 없이 Modal 창 구현하기

Instagram clone project using class-based Component

Jun
9 min readJul 19, 2020

인스타그램 클론 프로젝트 전체코드

인스타그램 Story Modal 창 기능

화면상에 나타나는 UI를 보이는 대로/기능 대로 나눈 것을 컴포넌트라고 하는데, 인스타그램은 간단하고 재사용가능한 작은 컴포넌트로 이루어진 React 앱이다. 따라서, Single Page Application 의 대표주자인 React 라이브러리의 철학을 이해하는데 인스타그램 클론 프로젝트는 큰 도움이 되었다.

이 번 프로젝트에서 주안점을 두었던 것은 React 의 기초가 되는 class-based 컴포넌트의 이해였다. class-based 컴포넌트가 중요한 이유는 바로 life-cycle(생명주기) 메소드들 때문이다. 예를 들어 화면상에 나타나는 인스타그램 피드 하나하나 모두 생명을 갖고 있고, 태어나서 사라질 때까지 여러 과정을 거친다. 거칠게 비유해 보자면, 태어날 때(constructor()), 유아기(componentDidmount()), 여러 이벤트가 발생하는 청소년기(componentDidUpdate()), 그리고 노년(componentWillUnmount)까지의 다양한 React 클래스 메소드들이 구현되어 있다.

각자의 메소드에 대한 이해는 어떻게 우리가 UI/UX 를 처리할지에 대한 명확한 방향을 제시 해 준다. 컴포넌트의 생명주기 메소드들과 이벤트 처리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위해서 나는 인스타그램에서 제공하는 Story 기능을 구현 해보기로 했고, 하루에 걸쳐서 레이아웃을 따고, React 코드를 다듬으며 기능을 추가 했다.

1. React에서는 어떻게 모달을 구현할까?

먼저 코드를 작성하기 전에, 컴포넌트를 어떤 식으로 나누고, 이벤트 처리를 어떻게 할것인지에 대한 지도가 필요하다. 다음 이미지는 메인페이지의 컴포넌트 구성이다.

MainContent 컴포넌트 굿
MainContent 컴포넌트 구성

<MainContet /> 컴포넌트 안에서 각자의 스토리와 피드 데이터(user id, thumbnail, 사진, 댓글 등..)가 담긴 객체를 map 함수로 props 와 함께 넘겨주며 <StoryItem />, <Feed /> 컴포넌트를 렌더링 한다.

즉, 각각의 화면에 보여지는 스토리와 글의 상태는 이 컴포넌트들을 감싸는 <MainContent /> 컴포넌트 안에서 관리가 된다.

생각보다 쉬운 모달창 렌더하기

가만 생각 해 보면 생각보다 단순하게 우리는 모달창을 렌더링 할 수 있다. React 의 JSX 문법을 활용하면 된다. JavaScript 코드도 아니고 HTML 도 아니지만, JSX를 사용하면 JavaScript를 사용해서 HTML 태그를 렌더링할지 말지를 결정할 수 있다.

그것은 바로 && 연산자

MainContent.js

위의 코드에서 render() 함수에서 리턴되는 JSX 코드 중 37, 38번째 줄의 코드를 보면 && 연산자를 사용해서 <StroyModal /><Dimmer /> 컴포넌트를 렌더링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벤트를 활용하는 것은 2. on / off 클릭 이벤트 처리하기 에서 다루기로 하고, 가장 기초적인 것을 설명하자면 storyModalStatus 라는 state 객체의 key 값을 생성 해 준다. 그리고 이 boolean 상태값이 false 가 되면 37번, 38번 모달과 관련된 컴포넌트들이 렌더링 되지 않는다. 반대로, true 가 되면 37, 38번째 줄에 쓰여있는 <StoryModal /><Dimmer /> 가 렌더링 된다.

리액트에서 보여주고자 하는 컴포넌트를 렌더링하는 기본적인 로직은 너무 간단하다. 상태로 true, false 를 관리해서 컴포넌트를 렌더링했다가 렌더링 하지 않도록 하면 된다. 이 때, event를 발생시켜서 this.setState 함수로 컴포넌트의 상태를 바꾸면 render() 함수가 다시 호출되기 때문이다.

즐거우면서도 괴로운 CSS

StoryModal.js

StoryModal.scss

Dimmer.js

Dimmer.scss

리액트로 웹앱을 개발하는 일은 즐겁다. 하지만, css를 사용한 레이아웃은 도통 내 마음대로 되지 않는다. 사실 JavaScript로 모달 기능 구현에 쏟은 시간보다 css에 들인 시간이 더 많다. 역시, UI/UX를 담당하는 프론트엔드 개발자에게 css란 계속해서 올라야 할 산과 같다.

나는 모달창을 렌더링 하는 것을 위에서 설명했듯 <MainContent /> 컴포넌트 안에서 구현헀다. 이 때 가장 주의해야 할 점은 결국 우리가 모달로 띄울 <StoryModal /><Dimmer /> 컴포넌트 모두 <MainContent /> 컴포넌트의 자식 이라는 점이다. 부모-자식 관계는 굉장히 중요하다. 아니 어쩌면 HTML 과 CSS의 속성들의 본질이다.

기본적으로 자식은 부모 태그의 너비를 벗어날 수 없다. 그래서, 처음 렌더링을 했을 때 <MainContent /> 의 너비로 지정한 600px 을 안에 갇혀서 <StoryModal /> 창이 렌더링 되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한 CSS 속성은 바로 position: absolute 이다. 만약 부모 중에 포지션이 relative, absolute, fixed 인 태그가 없다면 가장 위의 태그인 body 태그가 기준이 된다.

따라서 위의 StoryModal.scssDimmer.scss 의 코드를 보면 position: absolute 와 함께 top: 0, bottom:0, right: 0, left: 0 을 사용해서 렌더링 되는 컴포넌트들이 화면 전체를 사용하는 body 태그를 꽉 채우도록 했다. 이 때 width: 100%, height: 100% 속성으로 모달창이 화면 전체를 덮기를 원했다.

물론 위에서 작성한 속성으로만 우리가 원하는 결과가 나오는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아직도 <StoryModal /> 과 검은 배경을 의미하는 <Dimmer /> 컴포넌트는 부모-자식 간의 관계에서 벗어나지 못 했기 때문이다.

이 때 해결사로 등장하는 속성이 바로 z-index 속성이다. 말그대로 z축(화면에서 우리쪽으로) 에 값을 주어서 어떤 것이 상대적으로 앞에 보일지 결정하는 속성이다. 값으로 주는 정수값이 높을 수록 화면 상단에 배치되게 된다.

이 속성이 중요한 이유는 검은 배경화면을 나타내는 <Dimmer /> 컴포넌트가 실제 모달창의 컨텐츠가 담긴 <StoryModal /> 컴포넌트보다 뒤에 렌더링 되기를 원했다. 왜냐하면, 클릭 이벤트를 발생시켜서 검은 화면을 눌렀을 때에만 모달창이 꺼지도록 구현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만약 같은 z-index 값을 가진다면 중앙에 모달의 내용을 나타내는 부분을 클릭해도 모달창이 꺼지게 된다.

이 버그를 잡으려고 위의 코드에서 볼 수 있다시피 Dimmer.scss 에서는 z-index 을 200으로 StoryModal.scss 에서 실제 모달 내용을 의미하는 content 요소에 z-index 201을 주어서 검은 배경화면이 쌓이고, 그 위에 컨텐츠가 쌓일 수 있도록 모달창을 구현했다.

이렇게 따로 <Dimmer /> 컴포넌트와 <StoryModal /> 컴포넌트를 빼내지 않고, 한 번에 구현하려다가 머리를 싸맸었다. 그냥 분리해서 같은 층의 요소로 만든 다음에 z-index 를 주기로 하자.

2. Modal on / off 클릭 이벤트 처리하기

위에서 CSS로 고생하고 나면, 이제 이벤트를 처리 해야 한다. 하지만, 모달창의 렌더링이 어렵지 않았듯 껏다 켰다 하는 일은 더 쉽다.

다시 한 번 컴포넌트의 구조를 트리 구조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MainContent
│ ├── Dimmer
│ │ ├── Dimmer.js
│ │ └── Dimmer.scss
│ ├── MainContent.js
│ ├── MainContent.scss
│ ├── StoryItem
│ │ ├── StoryItem.js
│ │ └── StoryItem.scss
│ └── StoryModal
│ ├── StoryModal.js
│ └── StoryModal.scss
  1. <StoryItem /> 컴포넌트는 동그랗게 나타나는 스토리 아이콘 들이다. 이 컴포넌트 안에서 클릭 이벤트를 발생시켜서 부모인 <MainContent />this.state.storyModalStatus 를 true로 바꾸어 주면(this.setState) 렌더함수가 다시 실행되서 모달창의 기능을 하는 <StoryModal /><Dimmer /> 컴포넌트가 렌더링 된다.
  2. 이번엔 반대로 검은 배경을 담당하는 <Dimmer /> 컴포넌트에 클릭 이벤트를 걸어서 <MainContent />this.state.storyModalStatus 를 false 값으로 바꾸어(this.setState) 주면 렌더함수가 다시 실행되면서 <StoryModal /><Dimmer /> 컴포넌트가 렌더링 되지 않는다.

이 때 중요한것은 부모 컴포넌트인 <MainContent /> 에서 선언한 onStoryClick, modalOff 함수들이 각각 자식 컴포넌트인 <StoryItem /><Dimmer / 컴포넌트에 props로 전달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props로 이벤트가 발생할 때 실행될 로직이 담긴 함수(컴포넌트의 메소드)를 전달해서, 그 컴포넌트 안에서 실행시키면 부모의 상태가 바뀌는 magic이 일어난다.

아래 코드를 확인하면 클래스 내에서 생성된 함수(메소드)가 <Dimmer /> 컴포넌트와 <StoryItem /> 컴포넌트를 렌더링 할 때, props로 전달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Event handling이 추가된 MainContent.js

props를 받아서 사용하는 예시로 <Dimmer /> 컴포넌트의 코드를 보면, 이벤트에 함수를 매핑해준 것 밖에 없다.

Dimmer.js

3. setTimeout 사용해서 시간안에 모달창이 꺼지게 하기

말로 설명하는 것보다 코드를 보고 직관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편한 것 같아서 코드와 함께 주석 처리를 해 놓았다.

StoryItem.js

Event handling이 추가된 MainContent.js

마무리

모달 창을 구현하는데 생각보다 꽤 어려운 CSS 속성들과 이벤트 핸들링을 다뤄야 했다. 모달창을 구현할 때 고려해야 할 상황을 정리 해 보자면

  1. 어느 곳에서 모달창을 렌더링 할지 결정하기: 부모-자식 관계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2. 배경과 컨텐츠를 담는 컴포넌트를 두개로 분리하기
  3. z-index 를 사용해서 부모 컴포넌트보다 앞쪽에 렌더링 되도록 배치하기
  4. 모달 창 on/off 이벤트 핸들링을 할 때, state, props를 사용해서 부모 컴포넌트의 상태를 부모로 부터 props로 전달받은 함수를 실행시켜서 렌더링 하기
  5. setTimeout을 사용한다면 고유한 ID를 상태값으로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점 잊지 않기

스토리 모달창이 구현된 최종 인스타그램 클론 코딩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Instagram Clone github link

--

--